POD
-
eks pod 수 수정Computer Science/Aws 2023. 3. 27. 12:24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eks/latest/userguide/cni-increase-ip-addresses.html Amazon EC2 노드에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양 늘리기 - Amazon EKS 관리형 노드 그룹은 maxPods의 값에 최대 수를 적용합니다. vCPU가 30개 미만인 인스턴스의 경우 최대 수는 110이고 다른 모든 인스턴스의 경우 최대 수는 250입니다. 이 최대 수는 접두사 위임의 활성 docs.aws.amazon.com 위 가이드 대로 진행하면 된다. IPv6 패밀리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한 경우 이 과정을 건너뛰어도 된다. kubectl set env daemonset aws-node -n kube-system ENABLE_PREFIX..
-
Pod - readiness, liveness, startup probeComputer Science/k8s 2023. 3. 26. 15:32
Readiness Probe Traffic을 언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에 대한 설정 Fail이 발생하면 Traffic을 차단한다. Pod를 재실행하지는 않는다. Liveness Probe App이 잘 살아있는 지를 판별하는 설정 Fail이 발생하면 해당 Pod가 재실행 된다. Startup Probe App이 기동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설정 해당 설정이 success되어야 Readiness 와 Liveness가 동작하기 시작한다. 초기 App 구동 시간이 예측이 힘들고 오래걸릴 때 적용한다. 필수 ( 3중 1개 이상) httpGet 서버 상태 코드를 통해 판단 ( 200 이상 400 미만 정상) Port - 8080 Host - localhost Path - /ready HttpHeader - languag..
-
Pod의 LifecycleComputer Science/k8s 2023. 3. 26. 14:19
Pod의 Status Phase Pending 우선 Pod가 어느 Node 위에 올라갈지 결정한다. 지정된 것이 있다면 지정된 것을 사용하고 아니면 k8s가 판단한다. 성공적으로 실행될 시 PodScheduled가 true 아니면 false 가 된다. 본 Container가 기동되기 전에 초기화 해야하는 것이 있다면 실행한다.( initContainer ) 성공적으로 실행될 시 Initalized 가 true 아니면 false 가 된다. Container에 이미지를 다운한다. 3까지 과정 동안 Container의 상태는 Waiting이고 Reason 은 ContainerCreating 이다. Running Pod가 정상동작중인 상태이다. Container는 정상동작 하지 않을 수 있다. Container..
-
k8s Object 기본 간략 정리Computer Science/k8s 2023. 2. 12. 20:19
pod - container 들을 모아서 실행하는 곳. 언제든 종료될 수 있으며 재실행 될 때 마다 ip가 변동된다. label을 달 수 있다. (key value) 한 pod에서 같은 port의 container 실행 불가. memory 가 초과 된다면 종료 되지만 Cpu는 초과되도 해당 Limit로 낮추려고 한다. service - 종료되지 않고 고정 ip로써 떠 있어서 pod들을 연결해준다. ClusterIp 방식 - 내부 ip로만 접근할 수 있으며 관리하는 pod들에게 연결해준다. NodePort 방식 - 해당 NodePort로 들어와도 Service로 간다음 Service에서 관리하는 pod들로 연결해준다. 따라서 a node에 접근해도 a node의 들어가고자 하는 pod로 연결되지 않을 수 ..